조금 주제에서 벗어난 이야기일수도 있는데, 궁금해서 한번 질문드립니다. vpn 설정중에 Fast Connect이란게 있길래 궁금해서 예시로 나온 상황을 읽어봤어요. 대충 보면 Fast Connect를 쓰지 않을시에는 사용자의 컴퓨터 - 미꾸라지 중계서버 - 게임서버 이렇게 되고, 쓴다면 사용자의 컴퓨터 - 게임서버인듯 흉내내는 미꾸라지? - 중계서버 - 게임서버 이렇게 되는듯 한데. 그렇다면 Fast Connect를 사용하면 대체 어디서 좋은점인건가요? 핑이 같거나 서버를 하나 더 거치는게 되니 오히려 핑이 더 나빠질것같은데… Fast Connect를 사용한다고 할때 게임서버인듯 흉내내는 미꾸라지가 진짜 게임 서버인척 해도 흉내내는것 뿐이기 때문에 결국 마지막에는 중계서버를 거쳐서 진짜 게임 서버에 도착하게 되는데, 그렇다면 당연히 시간이 더 걸려야하는게 아닌가요?
맞습니다. 하지만 게임 서버를 흉내내는 미꾸라지 프로그램이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걸리는 시간은 전혀 체감할 수 없는 1 ms 이하의 시간이 걸리기 문에 더 느려지는 현상은 없을 것입니다.
FastConnect 의 이점은 게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설명을 드리면
1. 게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보았을 때 게임 서버는 정말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모든 연결이나 반응 속도가 엄청 좋아 보이거든요.
2. 그래서 기존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서버로 데이타를 보내고 나서 응답이 올때까지 어느 정도 기다려야 했습니다. 한국 <-> 미국 거리라면 최소 140 ms 정도 기다려야 했었지요.
3. 하지만 FastConnect 모드의 경우, 게임 서버가 바로 옆에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게임 서버의 응답이 바로 바로 오기에 다음에 전달할 데이타를 즉각 보낼 수 있습니다.
아마 이 부분이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