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없음

문의했던대로 MUDEC_00045 가서 하라는대로 해보려니까 속성에 들어가서 '기술’을 찾아보려니 그런 단어가 있지도 않네요. 아에 그런 매뉴가 없는대 고치긴 뭘 고칩니까. 혹시나 해서 속성에 있는 다른것도 찾아봤는대 윈도우 10이랑 호환이 안된다네요. 이 뭐뭐뭐뭐는 윈도우 10에서는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비슷하고 써있던대 MUDEC_00045 같이 알아듣기도 힘든게 아니라 그냥 윈도우 10에서는 안되는게 아닌가요? 핑이 느려지고 빨라지고를 떠나서 설정구성중이라며 10퍼센트에서 멈춰있는대 해결좀 부탁드립니다.

http://webaz.co.kr/files/attach/images/313/420/2f14f281fdfff62ab2d8d1e9b27a8ab1.png 이미지와 같이 “대상(T)” 가 나오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

MUDEC_00045 문서에는 여러가지 체크 목록이 있는데, 그 중 제일 위에 있는 -I 옵션을 시도하신 것으로 보이는데, 맞는지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속성창은 윈도우즈 10 에서도 전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아는데, 만약 그렇다면 정말 이상한 일입니다…

음… 이 부분은 결국 WPAD 문법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ㅠ.ㅠ 사실 해당 게임사에서 사용하는 도메인들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조사하셔서 그에 알맞은 문법으로 구성해 주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의 "요구 검사"나 “개발자 도구” 같은 것을 사용하여 해당 요청들이 어떤 hostname 들을 사용하여 전달되는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사실 이 부분이 좀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부분이라 제가 얼마나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if (shExpMatch(host, “localhost”) || shExpMatch(host, “127.0.0.1”))        return “DIRECT”;    return “PROXY 10.255.80.1:8081”;}어…음 말씀하신거 보고 반대로 로컬호스트에서는 안쓰고나머지에서는 다 프록시를 통하게 했는데도 안되는군요(위에 wpad문법)똑같이 필터링에 걸려서 나옵니다크롬 애드온쓰고 하면 이상없이 잘 들어가지고요포트번호가 잘못됫으면 위에 문의글 쓴거보고 알려주셧을테니 포트번호는 잘못된게 아닐꺼고…8080 번호로도 해봣습니다뭐가 문제인지 영 모르겟네요…위에 써주신대로 호스트 네임이 달라서 그런거다 라면 이렇게하면 다 동작해야되는거 아닌가요? 음 영 모르겟네요…한국에서 악명높은 warning.or.kr 도 못넘어가는거 보면 적용이 안되는거같은데… 나의 IP는 가서 확인해도 사용중이 아닙니다 라고 뜨고요뭐가 잘못된건지 잘 모르겟군요  
  
아 추가로 문의드립니다만 만약 미꾸라지주소를를 WPAD 문법을 사용해서 우회시킨다면   
function FindProxyForURL(url, host) { if (shExpMatch(host, “mudfish.net”))   
return “PROXY 10.255.80.1:8080”; if (shExpMatch(host, “mudfish.net”)) return “PROXY 10.255.80.1:8081”; return “DIRECT”;   
}  
이렇게 했을떄 프로그램을 사용햇을떄처럼 우회중이라고 뜨는건가요?아니면 아니더라도 제가 쓰는 IP랑 다른 IP로 나올수 있는건가요?

 어..음 말씀하신거 보고 반대로 로컬호스트에서는 안쓰고나머지에서는 다 프록시를 통하게 했는데도 안되는군요  
  
우선 WPAD 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부터 체크하는 것이 먼저로 보입니다.  즉 단순히 첫번째 문법으로 테스트를 했을 때 http://myip.mudfish.net 에 접속시 적용 안된다고 나온다면 WPAD 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먼가 기본적인 동작부터 안됨을 나타내거든요.  
  
> 아 추가로 문의드립니다만 만약 미꾸라지주소를를 WPAD 문법을 사용해서 우회시킨다면  
  
음.. 이 부분은 "우회중"이라는 메세지를 어디에서 확인하느냐에 따라 달라 보입니다.  만약 myip.mudfish.net 을 나타낸다면 shExpMatch(host, “*.mudfish.net”) 와 같은 문법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