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거주중이고 현재 NURO히카리 (누로 히카리) 쓰는 중인데요.
인터넷 상태가 안좋아서 인터넷회사에 문의하니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옛날기종이라 서비스종료하여 새 기기로 바꿔주겠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기를 바꾸면 인터넷 통신방식(?)이 MAP-E 방식이라, VPN 등은 사용이 불가하다고 해서요.
찾아보니 실제로 해당 기기로 바꾼 후 VPN 사용이 불가했다는 일본인들 정보가 많네요.
일단 인터넷에서 좀 찾아보니,
MAP-E (주소와 캡슐화가있는 포트 매핑)는 IP 캡슐화를 사용하여 IPv6 네트워크에서 IPv4 패킷을 전송하는 IPv6 메커니즘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ISP)가 MAP-E를 채택한 경우 SRM에서 다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인터넷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센터 > 인터넷 > 연결로 이동합니다.
- 기본 인터페이스 섹션의 연결 유형 드롭 다운 메뉴 에서 v6plus (MAP-E)를 선택합니다.
- 기본 게이트웨이로 설정 드롭 다운 메뉴에서 활성화됨을 선택합니다.
- 적용 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대부분의 ISP에는 단일 공용 IPv4 주소를 공유하는 여러 사용자가 있고 서로 다른 TCP / UDP 포트를 사용해야합니다. 사용자가 주소를 공유할수록 할당 된 사용 가능한 포트 수가 줄어 듭니다. MAP-E 배포시 ISP는 사용 가능한 제한된 수의 포트에서 IPv4 및 IPv6 주소를 매핑합니다. 이로 인해 다음 서비스와 기능이 중단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 PPTP 클라이언트
- L2TP 클라이언트
- VPN Plus Server의 PPTP 서버
- VPN Plus Server의 L2TP 서버
- 포트 전달
- 포트 트리거
- DMZ
- IPv4를 통해 다음에 대한 외부 액세스 :
- SRM
- FTP
- SSH
============
라고 하네요. 위에 해결방법이라고 적혀있는것도 무슨말인지 모르겠고… 휴 ㅠㅠ
저는 미꾸라지 사용하면서, 아이폰에서도 가끔 쓰고, 크롬에 미꾸라지 확장 심어놓고 OTT 프로그램 보거나 필요할때마다 켜서 쓰는데, 이게 사용이 안될 수 있는가 싶어서 문의합니다.
인터넷회사에서는 자기들은 그런건 자기네 서비스가 아니니 말해줄 수 없다고 해요;;;
요즘 세상에 VPN 사용을 막는 회선이 있다니… 너무 스트레스 받네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