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거주중 MAP-E 방식 인터넷으로 바꾼다는데 VPN 사용

일본거주중이고 현재 NURO히카리 (누로 히카리) 쓰는 중인데요.
인터넷 상태가 안좋아서 인터넷회사에 문의하니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옛날기종이라 서비스종료하여 새 기기로 바꿔주겠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기를 바꾸면 인터넷 통신방식(?)이 MAP-E 방식이라, VPN 등은 사용이 불가하다고 해서요.
찾아보니 실제로 해당 기기로 바꾼 후 VPN 사용이 불가했다는 일본인들 정보가 많네요.

일단 인터넷에서 좀 찾아보니,

MAP-E (주소와 캡슐화가있는 포트 매핑)는 IP 캡슐화를 사용하여 IPv6 네트워크에서 IPv4 패킷을 전송하는 IPv6 메커니즘입니다.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ISP)가 MAP-E를 채택한 경우 SRM에서 다음 기능을 활성화하여 인터넷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1. 네트워크 센터 > 인터넷 > 연결로 이동합니다.
  2. 기본 인터페이스 섹션의 연결 유형 드롭 다운 메뉴 에서 v6plus (MAP-E)를 선택합니다.
  3. 기본 게이트웨이로 설정 드롭 다운 메뉴에서 활성화됨을 선택합니다.
  4. 적용 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대부분의 ISP에는 단일 공용 IPv4 주소를 공유하는 여러 사용자가 있고 서로 다른 TCP / UDP 포트를 사용해야합니다. 사용자가 주소를 공유할수록 할당 된 사용 가능한 포트 수가 줄어 듭니다. MAP-E 배포시 ISP는 사용 가능한 제한된 수의 포트에서 IPv4 및 IPv6 주소를 매핑합니다. 이로 인해 다음 서비스와 기능이 중단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 PPTP 클라이언트
  • L2TP 클라이언트
  • VPN Plus Server의 PPTP 서버
  • VPN Plus Server의 L2TP 서버
  • 포트 전달
  • 포트 트리거
  • DMZ
  • IPv4를 통해 다음에 대한 외부 액세스 :
    • SRM
    • FTP
    • SSH
      ============
      라고 하네요. 위에 해결방법이라고 적혀있는것도 무슨말인지 모르겠고… 휴 ㅠㅠ

저는 미꾸라지 사용하면서, 아이폰에서도 가끔 쓰고, 크롬에 미꾸라지 확장 심어놓고 OTT 프로그램 보거나 필요할때마다 켜서 쓰는데, 이게 사용이 안될 수 있는가 싶어서 문의합니다.
인터넷회사에서는 자기들은 그런건 자기네 서비스가 아니니 말해줄 수 없다고 해요;;;

요즘 세상에 VPN 사용을 막는 회선이 있다니… 너무 스트레스 받네요 ㅠ

음… 일단 연결 방식이 신기하네요. ㅠ.ㅠ 개인적으로 이 방식으로 인터넷을 구성해 본적이 없기 때문에 뭐라 의견을 드리기 힘들어 보입니다.

다만 제 경험(?)에 비추어 보아 해당 방식은 IPv4 over IPv6 방식이 아닐까 합니다. 다만 이 구성 자체가 어느 구간에서 이루어지냐가 중요해 보이는 이슈로 보입니다.

혹시 인터넷선(?)을 바로 @shj3384 님의 컴퓨터에 꼽아 사용하시는 중인가요? 아니면 ipTIME 공유기 같은 home router 을 두고 거기에 컴퓨터들을 물려서 사용하시는 방식이신가요?

만약 전자라면 해당 구성으로 인해 @shj3384 님의 미꾸라지 접속이 제대로 안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 변경하신다고 하더라도 별 이상 없는 형태로 보입니다.

찾아보니 말씀하신대로 IPv4 over IPv6 방식이라고도 하는거 같더라고요.
광랜 회선 케이블을, 인터넷회사에서 제공한 공유기 같은것에 꼽아서, 거기서 이제 컴퓨터 본체나 노트북에 유선 통신케이블을 또 연결해서 쓰고 있습니다.

해당 공유기 같은 기기가 와이파이도 되는 기기고요.
근데 그 기기를 교체를 하게 되면 통신방식이 바뀐다고 하면서 VPN을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던…

저도 일본에서 같은 방식인 v6plus 사용중인데 미꾸라지는 문제 없이 됩니다. 다른 방식의 vpn도 되고요.
특정 vpn의 경우 문제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일단 미꾸라지나 openvpn. 와이어가드는 문제 없었네요.
저 같으면 일단 교체하시고 혹시 문제있으면 인터넷 서비스를 바꾸겠어요.